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바기초] 8가지 자료형의 구성요소 정리노트
    º Language º/Java 2023. 3. 10. 22:12

    * 자료형이란?


    - 프로그램 실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위해서는 컴퓨터 내부에 저장소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렇게 저장소를 마련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어떤 성격의 자료를 저장할 것인지 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을 "자료형(Data Type)"이라고 합니다.

    자바에서는 자료형(Data Type)을 위하여 8가지 기본자료형이 준비 되어 있어요!

     

    문자형


    1. char : 2byte
    - 글자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자바에서는 글자 하나(문자형)와 여러글자(문자열)의 처리가 달라요

    char는 문자열을 처리할 수는 없고 글자하나 즉 문자를 처리하는 자료형 입니다.

     

    논리형


    2. boolean : 1byte
    - 프로그램 실행중에 어떠한 상태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해야 할 때가 있어요
    이와같이 논리(true, false)값을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정수형


    3. byte

    - 1byte (-2의 7승 ~ 2의 7승-1)


    4. short

    - 2byte (-2의 15승 ~ 2의 15승 -1)


    5. int

    - 4byte (-2의 31승 ~ 2의 31승 -1)


    6. long

    - 8byte (-2의 63승 ~ 2의 63승 -1)

    > 이렇게 4가지의 정수를 위한 자료형이 있지만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수값이 26 이렇게 오면 int로 취급합니다.

     

    * byte 와 bit


    - 1byte => 8bit

    - 1byte (8bit)가 있는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 2의 8승가지 

    - 1bit 가 있으면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 2가지

    1

    - 2bit가 있으면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 4가지
    0 0 0
    0 1 1
    1 0 2
    1 1 3

    > 8개의 bit중에 1개는 부호비트로 사용해요.

    그래서 8bit가 있으면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는 -2의 7승 ~ 2의 7승-1 까지 표현할 수 있어요.

    실수형


    7. float

    - 4byte
    - 소수점이하 6~7자리까지 표현할수 있어요

    8. double

    - 8byte
    - 자바에서는 실수값이 오면 [ ex) 26.7 ] 이렇게 오면 기본적으로 double로 처리합니다.


    * char 과 String의 차이

     

    - char (문자형)

    > 자바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의 처리가 달라요! 하나의 글자를 문자라고 하고 여러글자를 문자열이라고 하는데,  문자의 표현의 홋따옴표로 묶어 줍니다. 즉 대문자 A를 표현하려면 'A' 이렇게 해야 합니다.
    한글도 마찬가지 입니다.  '홍'  한글자 처리는 홋따옴표로 묶어 줍니다.


    - String (문자열)

    문자열을 표현하려면 쌍따옴표로 묶어 주어야 합니다. "손지민" 이렇게 표현해야 합니다.
    만약에 문자열을 홋따옴표로 '손지민' 이라고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그러나 한 글자인데 쌍따옴표로 묶는 것은 가능합니다. "손" 한 글자이지만 문자열로 처리하겠다는 것입니다.
    - String은 엄밀히 말하면 기본자료형은 아니지만 기본자료형처럼 사용합니다.

     

Coder yein